본문 바로가기

명리학64

사주 겁재 (怯財) 뜻 장점 단점 풀이 사주에서 겁재(怯財)는 '재물을 위협하다. 뺏는다.'라는 뜻으로 일간인 나와 오행이 같고, 음양이 다른 글자입니다. 겁재(怯財)는 비견처럼 나와 비슷하지만, 이성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남자에게는 누나, 여동생, 여자에게는 오빠나 남동생을 의미합니다. 겁재 (怯財) 겁재(怯財)는 한자로, '위협할 겁(怯), 재물 재(財)'라는 뜻으로, '재물을 위협하다.' 혹은 '겁탈하다.'라는 의미입니다. 비견처럼 나와 동등존재이지만, 반대편에서 나를 끌어당기는 기운으로, 적군, 경쟁자와 같이 어둡고, 도발적인 기운입니다. 겁재는 일간(나)과 같은 오행이고, 음양이 다른 글자입니다. * 일간별 겁재 글자 일간 甲 乙 丙 丁 戊 己 庚 辛 壬 癸 겁재 乙 甲 丁 丙 己 戊 辛 庚 癸 壬 卯 寅 午 巳 丑, 未 辰, 戌 酉.. 2024. 3. 21.
사주 비견 (比肩) 뜻 장점 단점 풀이 사주에서 비견(比肩)은 '어깨를 나란히 견주다.'라는 뜻으로, 나와 같은 기운을 가진 글자를 의미합니다. 비견은 일간인 나와 오행과 음양이 같은 글자로써, 나 자신을 뜻합니다. 사주에 비견이 많으면 자존감이 높고, 독립심이 강하며, 주체적인 삶을 살아갑니다. 비견 (比肩) 비견 뜻은 한자로, 견줄 비(比), 어깨 견(肩)이라고 하여, '어깨를 견주다.'라는 의미로, 나와 같은 에너지, 기운을 뜻합니다. 사주에서 일간인 나와 같은 오행으로 음양이 같은 글자가 비견입니다. * 일간별 비견 글자 일간 甲 乙 丙 丁 戊 己 庚 辛 壬 癸 비견 甲 乙 丙 丁 戊 己 庚 辛 壬 癸 寅 卯 巳 午 辰, 戌 丑, 未 申 酉 亥 子 비견은 나와 같은 기운으로, 주변에 나와 같은 사람이 많은 것을 의미합니다. 육친으로는 .. 2024. 3. 19.
인중 관상 모양별 관상보는법 인중 관상을 통해서, 자녀운 및 말년운, 건강 및 재물운을 예측할 수있습니다. 여자에게 인중은 자녀를 뜻하므로, 상처가 있으면, 유산 및 난임의 어려움이 생기며, 자식운이 약해집니다. 좋은 인중관상은 깊고, 넓으며, 상처가 없이 깨끗한 인중이 좋은 관상입니다. 인중 관상 인중은 코 중앙에서 윗입술 사이이에 세로로 깊게 파인 꼴을 나타내며, '물도랑'으로 비유되기도합니다. 관상학적으로, 좋은 인중 모양은 깊고, 넓으며, 털이나 점, 상처가 없는 모양이 좋습니다. 인중은 재물을 상징하는 코의 기운이 입술로 흘러가게 하는 통로역할을 합니다. 여자인 경우 콧방울은 유방, 입은 자궁이라고 하여, 남자에 비해 인중의 역할이 더욱 중요합니다. 신체기관으로는 질에 해당되므로, 여자 인중에 가로 선이 그어져 있거나, 흉.. 2024. 3. 18.
화형 (火形) 관상 얼굴 연예인 사주 오행으로 화형(火形) 관상 얼굴 특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화(火)는 불을 상징하며, 화형(火形) 관상을 가진 사람은 붉은빛의 피부색을 가지고 있으며, 이목구비가 날렵하고, 턱선은 좁고 갸름합니다. 즉흥적이며, 화끈한 기분파가 많습니다. 화형(火形) 사주 사주 일간이 병화(丙火), 정화(丁火)인 경우 화형(火形) 관상에 해당됩니다. 꼭 사주 일간이 화(火)가 아니더라도, 사주에 화기운이 강하면, 화형 관상에 해당됩니다. 오행의 관점에서 좋은 관상은 사주 일간의 기운을 잘 나타내는것이 좋지만, 지나친 경우 건강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화(火)는 신체기관 중 심장, 소장, 혈압, 혈관계통을 의미합니다. 화형(火形)인 사람이 기운이 약해지면, 관련 질병에 주의해야 합니다. 화형 관상 화(火)는.. 2024. 3. 18.
목형 관상 얼굴 특징 (木形) 사주 오행으로 알아보는 관상에서 목형(木形) 관상 얼굴 특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목(木)은 나무 목에서 따온 형태로써, 위로 뻗어나가는 성질을 의미합니다. 목형(木形) 관상은 길쭉한 형태로써, 대체로 팔, 다리가 길고, 키도 큰 편에 속합니다. 목형(木形) 사주 목형(木形) 얼굴을 가진 사람은 사주에 갑목(甲木), 을목(乙木) 일간을 가진 사람을 의미합니다. 꼭 사주 일간이 목(木)이 아니더라도, 사주 구성에 목 기운이 강하면, 목형 관상에 해당 됩니다. 오행의 관점에서 좋은 관상은 사주 일간의 오행이 관상으로 잘 나타나는 것을 의미하지만, 기운이 지나치면 건강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목(木)은 신체기관으로 간, 담을 나타내며, 목형(木形)인 사람의 기운이 약해지면, 관련 질병이 발생할 수 .. 2024. 3. 17.
토형 관상 얼굴 특징 (土形) 사주 오행으로 알아보는 관상에서 토형(土形) 관상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토형(土形) 얼굴은 하관으로 갈수록 살집이 풍부하고, 두툼합니다. 착하고 선한인상으로, 인정 많은 사람처럼 보입니다. 토(土)는 재물을 뜻하므로, 금전운이 좋습니다. 토형(土形) 사주 토형(土形)은 주로 사주 일간이 무토(戊土), 기토(己土)인 사람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토(土)일간이 아니더라도, 사주에 토기운이 강하면, 토형(土形) 관상에 해당됩니다. 오행의 관점에서 좋은 관상은 자신이 가진 일간 오행의 기운을 잘 나타내는것이 좋지만, 지나친 경우 건강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토(土)는 신체기관으로, 비장과 위장을 나타내며, 토형(土形)인 사람의 기운이 약해지면, 관련 질병이 발생할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토형(.. 2024. 3. 17.
수형 얼굴 관상 특징 (水形) 사주 오행으로 알아보는 관상에서 수형(水形) 얼굴 관상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수형(水形) 관상을 가진 사람은 이마는 좁고, 턱은 둥근 모양을 가지고 있습니다. 마치 둥근 항아리처럼, 널찍하고, 두툼하여, 따뜻하고, 푸근한 인상을 줍니다. 수형(水形) 사주 수형(水形) 얼굴을 가진 사람은 사주에 임수(壬水), 계수(癸水) 일간인 사람을 의미합니다. 꼭 사주 일간이 수(水)가 아니더라도, 사주 구성에 수(水)기운이 강하면, 수형 관상에 해당됩니다. 오행의 관점에서 좋은 관상은 자신이 가진 일간 오행의 기운을 잘 나타내는것이 좋지만, 지나친 경우 건강상 문제를 일으킬 수있습니다. 수(水)는 신체기관으로 신장과 방광을 나타내며, 수형(水形)인 사람의 기운이 약해지면, 관련 질병이 발생할 수있으니, 주의가 필요.. 2024. 3. 16.
금형 얼굴 관상 특징 (金形) 얼굴 관상 중에서 금형(金形) 얼굴의 특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사주 오행 중 금(金)은 강직하고, 단단하며, 고집과 신념이 강한 사람이 많습니다. 금형(金形) 얼굴 관상을 가진 사람들은 대부분 반듯한 얼굴형을 가지고 있으며, 피부와 골격도 단단한 편입니다. 금형 사주 금형 얼굴을 가진 사람은 사주에, 경금(庚金), 신금(辛金) 일간인 사람을 의미합니다. 사주 일간이 금(金)이 아니더라도, 사주 구성에 금(金)이 많으면, 금형 관상에 해당됩니다. 좋은 관상은 자신이 가진 오행의 기운을 잘 나타내는 것이 좋지만, 지나치게 강하면, 건강상 문제를 일으키기도 합니다. 금(金)은 신체기관으로는 대장과 폐를 의미하는데, 금형인 사람은 대장과 폐가 건강하지만, 기운이 쇠약해지면 질병에 주의해야 합니다. 금형 얼굴.. 2024. 3. 15.
태극귀인(太極貴人) 뜻 사주 풀이 사주 신살 중 태극귀인 뜻과 의미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태극귀인(太極貴人)은 조상의 덕이 있고, 액운을 제거해 주며, 부와 명예를 얻을 수 있는 길신입니다. 내 사주에 태극귀인이 있는지 여부는 만세력 어플을 통해서,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태극귀인(太極貴人) 태극귀인의 한자 뜻은 클 태(太), 다할 극(極), 귀할 귀(貴), 사람 인(人)으로써, 생각지 못한 큰 행운이 찾아오고, 주변에 나를 도와주는 귀인이 많으며, 부와 명예를 누릴 수있는 길성입니다. 보통, 길신은 사주 일간(나)에 위치할 때 좋다고 풀이하나, 태극귀인은 년지에 있을 때 가장 길하게 풀이됩니다. 내 사주에 태극귀인이 많으면, 고난과 역경의 상황에서도 그 피해가 크지 않으며, 우여곡절 속에서도 예기치 못한 행운을 만나게 되기 때문.. 2024. 3. 11.
편재(偏財) 뜻 사주 특징 사주 십신(十神) 중 편재(偏財)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재성(財星)은 편재와 정재를 합쳐서 부르는 말로써, 일간인 내가 극하는 오행입니다. 글자 그대로 '재물을' 뜻하는데, 편재(偏財)는 치우칠 편(偏), 재물 재(財)라고 하여, '한쪽으로 치우친 재물'을 뜻합니다. 편재(偏財) 편재뜻은 한자로 '치우칠 편(偏), 재물 재(財)'라고 하여, 한쪽으로 치우친 재물 즉, 몸에 지니지 않는 재물을 의미합니다. 현찰, 현금이 아니라, 예를 들면, 투기, 투자, 주식, 코인, 복권과 같이 비정기적인 수입을 말합니다. 똑같은 돈이지만, 예측이 불가능한 재물이 편재(偏財)입니다. 사업을 하면 얼마만큼 돈을 벌지 예측할 수없듯이 편재(偏財)는 많이 벌 수도 있고, 잃을 수도 있습니다. 편재(偏財)는 남녀 사주에 따라.. 2024. 2. 6.